다사다난했던 2024년의 끝자락, 하늘만큼은 고요하고 맑게 한 해를 배웅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마지막 해넘이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선명하게 감상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김병권 / 기상청 예보분석관 : 31일 화요일은 전국이 새벽까지 구름 많다가 점차 맑아지며 대부분 지역에서 해넘이를 볼 수 있겠습니다. 전라권과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는 구름 사이로 해를 볼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2024년 마지막 해는 오후 5시 5분, 독도에서 가장 먼저 저물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이어 서울 5시 24분, 태안 만리포 5시 29분, 진도 세방낙조 5시 35분에, 그리고 신안 가거도에서 5시 40분에 마지막으로 해가 저물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푸른 뱀의 해, 2025년 첫날, 동해에서는 맑은 하늘 아래 첫해를 맞이할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서쪽 지역은 드문드문 흩어진 구름 사이로 해돋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우진규 / 기상청 통보관 : 구름의 짙어짐과 일부 아침에 생기는 지역적인 안개라든지 여러 가지 변수들은 있지만, 대체로 고기압 영향권에서 다소 구름이 끼기 어려운 상태라는 점….] <br /> <br />새해 첫 해돋이 역시 독도에서 오전 7시 26분에 가장 먼저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륙에서는 울산 간절곶이 5분 뒤인 7시 31분, 포항 호미곶 7시 32분, 강릉 정동진 7시 39분, 서울에서는 7시 47분에 2025년 첫해가 떠오를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연말과 새해 초, 추위의 기세가 한풀 꺾이면서 전국적으로 예년 수준의 겨울 추위가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부 내륙 지역에서는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 속에서 체감온도는 더 낮을 것으로 보여 해넘이나 해돋이를 직접 보려면 방한복으로 체온 관리를 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| 박정란 <br />디자인 | 전휘린 <br />자막뉴스 | 이선 안진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3109483793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